WindowBuilder 프로젝트 생성하기

  • 일반 프로젝트 생성

  • 프로젝트 내(src)에 WindowBuilder 라이브러리를 통해 GUI 자바 파일 생성

  • Design모드를 통해 드래그 앤 드롭으로 GUI 개발 끗


1. 프로젝트 생성하기

 1) Java EE

 2) Java


 3) 프로젝트 이름 만들기


2. 내 프로젝트 내에 WindowBuilder > Swing Designer > SwingContainer 만들기


3. JFrame을 ContentPane으로 한 java 파일이 생성

 1) Source 모드


 2) Design 모드

  - Drag and Drop을 통해 UI를 만들 수 있다.


Window Builder를 통해 GUI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

하지만 더 깊은 이해는 따로 책을 보거나 API를 통해 공부해야 한다.

GUI개발 툴 WindowBuilder 설치법

  • Eclipse에 WindowBuilder 설치
  • Help > Install New Software
  • Add

1. WinodwBuilder 찾기 

 - 상단 MenuBarHelp > install New SoftWare ☜ 클릭 


2. WindowBuilder 라이브러리 검색을 하기 위해서 Add ☜ 클릭



3. WindowBuilder 찾기

 - Name에 WindowBuilder

 - Location에 자신의 Eclipse 버전에 맞는 주소 입력!

 - 밑의 표에서 자신의 Version Name에 맞는 Platform Version을 입력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Eclipse_(software)#Releases

Version NameDatePlatform VersionProjectsMain Changes
N/A21 June 20043.0[18]
N/A28 June 20053.1Added Java 5 support (Generics, annotations, boxing/unboxing, enums, enhanced for loop, varargs, static imports)
Callisto30 June 20063.2Callisto projects[19]
Europa29 June 20073.3Europa projects[20]
Ganymede25 June 20083.4Ganymede projects[21]
Galileo24 June 20093.5Galileo projects[22]
Helios23 June 20103.6Helios projects[23]
Indigo22 June 20113.7Indigo projects[24]
Juno27 June 20123.8 and 4.2[25]

[Notes 1]

Juno projects[28]
Kepler26 June 20134.3Kepler projects[29]
Luna25 June 20144.4Luna projects[30]Integrated Java 8 support (in the previous version this was possible via a "Java 8 patch" plugin)
Mars24 June 20154.5Mars projects[31]
Neon22 June 20164.6Neon projects[32]
OxygenJune 2017 (planned)4.7Oxygen projects[33]


http://download.eclipse.org/windowbuilder/WB/integration/4.5/



4. 1번 항목을 모두 선택 한 후 Next ☜ 클릭

 1) 모두 선택


  - Swing Designer

  - SWT Designer

  - WindowBuilder Engine (Required)

 2) Next


5. WindowBuilder의 세부 라이브러리의 목록 Next ☜ 클릭


6. WindowBuilder의 라이센스 확인

 1) I a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

 2) Next ☜ 클릭


7. WindowBuilder 설치 중

 - Run in Background를 누르고 다른 작업을 하실 수 있습니다.

 - WindowBuilder가 모두 설치 되었을 경우 뜨는 화면

 - Yes를 누르고 재시작


윈도우 빌더를 모두 설치 하셨습니다!

Window Builder 사용하기 ☞

1. VLAN이란?

 1) 일반적인 2계층 장비의 기능

  - 스위치는 단순히 콜리전 영역을 나눠주는 정도의 역할을 한다.

  - 브로드캐스트의 영향이 점차 커지면서 라우터에 의한 네트워크 영역의 분류가 필요하게 되었다.

  -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장비들이 모두 같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안에 있게 되었다.

  - 브로드 캐스트 도메인을 나누려면 중간에 라우터를 두고 양쪽으로 스위치를 라우터에 연결해야만 한다.


 2) VLAN에서 꼭 기억해야 할 것

    • 스위치에서 지원하는 기능이다.
    • 한 대의 스위치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 위해서 사용한다.
    • 스위치가 VLAN으로 나누어지면 나누어진 VLAN간의 통신은 오직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 '네트워크를 나눈다'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눈다'
    • 하나의 포트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VLAN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포트를 트렁크 포트(Trunk Port)라고 한다.
    • 트렁크에서 패킷이 전송될 때에 패킷에 VLAN 정보도 같이 전송되기 때문에 어느 VLAN에 속한 패킷인지를 목적지에서 구분할 수 있다.

 3) 스위치가 VLAN의 기능이 없는 경우


  - 이 네트워크 구성은 3개의 네트워크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따라서 라우터에서는 3개의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가 나와야 하고, 이 3개의 인터페이스는 3개의 서로 다른 스위치에 연결되어야 한다.


 4) 스위치가 VLAN의 기능이 있는 경우


  - 라우터는 스위치로 하나의 링크만을 이용해서 3개의 네트워크를 실어보낼 수가 있다.

  - 즉, 하나의 선으로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 스위치도 여러 개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눌 수 있다.

 * 같은 스위치에 붙어 있어도 네트워크가 다르다면 반드시 라우터를 통한 통신을 해야 한다.


 5) 스위치에서 VLAN

  (1) Static Vlan

   - 스위치의 각 포트들을 원하는 VLAN에 하나씩 배정해 주는 것

  (2) Dynamic VLAN

   - 포트에 접속하는 장비의 맥 어드레스를 보고 그 주소에 따라 VLAN을 배정하는 방식

   - 이동이 잦은 사무 환경에서 적합

   - 자신의 MAC-Address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찾기 때문


 6) VLAN의 장점

  (1)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스위치는 VLAN마다 주소 테이블을 갖고 있어 어느 한 VLAN에 속한 포트로 프레임이 도달하면 스위치는 learning과 filtering, forwarding 과정을 해당 VLAN을 위해서만 수행한다.

  (2) Security

   - 라우터를 이용하지 않으면 그룹 내의 사용자와 그룹 밖의 사용자간에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보안을 향상시킨다.

  (3) Performance

   -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뿐 아니라 트래픽을 특정 사용자 그룹으로 제한할 수 있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4) Network 관리

   - VLAN은 논리적인 그룹을 제공하므로 워크스테이션이나 device의 이동이나 추가를 쉽게 할 수있다.


 7) VLAN Types & Operation

  (1) Static

    • Port-based VLAN (Port-centric VLAN)
  - 스위치의 포트로 VLAN을 나누어 연결한 포트에 따라 VLAN 구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2) Dynamic

    • MAC Address based VLAN
  - VLAN에 참여하는 장비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VALN을 구성하는 방법
  - 각 장비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하므로 스위치에 연결된 포트가 변경되더라도 VLAN 구성이 변경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 Protocol based VLAN
  - MAC Address based VLAN과 같이 장비의 3계층 주소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는 방법
  - 서브넷 주소나 IP Address 주소를 기반으로 하므로 스위치에 연결된 포트가 변경되더라도 VLAN 구성이 변경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STP(Spanning Tree Protocol) 설정

 * 학습 목표

  - Switch의 Spanning-Tree Protocol 구성한다 .


  - 관리자가 직접 설정 하는 부분

    • Host name
    • Switch의 IP 설정
    • Default G/W 설정
  - 관리자가 직접 설정 하는 부분 (선택사항 = Default 값이 존재)
    • speed (auto)
    • duplex (auto)
    • port당 연결가능한 Host의 개수 설정
    • Bridge ID의 우선순위 설정 (32768)
  - 스위치가 자동으로 설정
    1. 루트 브리지 선출
    2. 루트 포트 선출
    3.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선출
  - 설정 확인
    • 인터페이스 확인 명령어 (Show interface vlan 1)
    • 포스 확인 명령어 (Show interface status)
    • Mac-Table 확인 명령어 (Show mac-address-table)


 1. PC 설정

  1) IP Configuration

   (1) IP Address

   (2) Subnet Mask

   (3) Default Gateway


 2. Switch 설정

  - 스위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에 PC와 마찬가지로 IP주소와 기본 게이트웨이의 주소가 할당되어야 한다.

  - Cisco에서는 스위치의 관리 주소를 설정하기 위해서 Vlan1 이라는 가상랜을 지원한다.

  

  1) Hostname 설정

Switch(config)#hostname SwitchA

  2) Switch IP 설정

SwitchA(config)#interface vlan1
SwitchA(config-if)#ip ad
SwitchA(config-if)#ip address 198.160.1.2 255.255.255.0
SwitchA(config-if)#no shutdown 

  3) Default IP 설정

SwitchA(config)#ip default-gateway 198.160.1.1

  4) Port 설정

SwitchA(config)#int fa0/2
SwitchA(config-if)#duplex full
SwitchA(config-if)#speed 100



  5) Mac-Address-Table 관리

SwitchA# show mac-address-table
SwitchA#show mac-address-table dynamic // dynamic Mac-Address만 보기


  6) Port 당 연결가능한 호스트의 수를 제한

SwitchA(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3
SwitchA(config-if)# switchport port-security maximum 1

  7) Security Violation이 일어났을 경우 Shutdown

SwitchA(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3
SwitchA(config-if)# switchport port-security maximum 1


3. STP(Spanning Tree Protocol) 설정

1) Switch IP Address & Default G/W IP 설정

Switch(config)# int vlan1
Switch(config-if)# ip address 198.160.1.3 255.255.255.0
Switch(config-if)# ip address 198.160.1.2 255.255.255.0
Switch(config-if)# no shutdown
Switch(config)# ip default-gateway 198.160.1.1
Switch# show spanning-tree

Switch(config)# int vlan1
Switch(config-if)# ip address 198.160.1.2 255.255.255.0
Switch(config-if)# no shutdown
Switch(config)# ip default-gateway 198.160.1.1
Switch# show spanning-tree 


 2) Root Bridge 재선출

  - Non-Root Bridge에서

Switch(config)#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Switch#show spanning-tree 


Switch#show spanning-tree 


8. Mac Address의 저장 방식

 1) Dynamic 방식(Default)

  - Source로부터 Switch로 들어오는 Mac Address를 보고 그것을 자신의 Mac-Address-table에 저장하는 방식

  - 하나의 주소를 배우고 난 뒤, 그 주소를 사용한 지 300초(Default)가 지나도록 다시 사용하지 않으면 이 주소는 Mac-table에서 지워진다.


 2) Permanent 방식

  -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Mac-Table에 Mac Address를 넣는 방식


 3) Show mac-address-table

 Switch# show mac-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1    0002.16a4.6da1    DYNAMIC     Fa0/3
   1    0009.7c10.2b03    DYNAMIC     Fa0/1
   1    000b.bec4.309e    DYNAMIC     Fa0/2
   1    00e0.f702.85b7    DYNAMIC     Fa0/4


 4) Static Mac-Address 설정

Switch(config)#mac-address-table  static 00e0.f702.85b7 vlan 1 interface fastEthernet 0/4


 - Mac-Table 지우는 명령

Switch#clear  mac-address-table


7. 스패닝 트리의 재편성

  - 용어 학습

  (1) Hello Time

   - 루트 브리지가 얼마만에 한 번씩 헬로BPDU를 보내는지에 대한 시간

   - 루트 브리지는 자신에게 연결된 브리지들에게 헬로BPDU를 헬로타임(default 2초)마다 한 번씩 보낸다.

  (2) Max Age

   - 브리지들이 루트 브리지로부터 헬로패킷을 받지 못하면 맥스 에이지 시간동안 기다린 다음 스패닝 트리 구조 변경을 시작한다.

   - 즉, 맥스 에이지란 브리지들이 루트 브리지로부터 얼마 동안 헬로패킷을 받지 못했을 때 루트 브리지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스패닝 트리를 만들기 시작하는가에 대한 시간이다.

  (3) Forwarding Delay

   - 브리지 포트가 블로킹 상태에서 포워딩 상태로 넘어갈때까지 걸리는 시간

   - 블로킹 포트에서 리스닝 상태로 넘어간 포트는 포워딩 딜레이 시간 동안 기다린 다음 러닝 상태로 넘어가고, 러닝 상태에서 다시 포워딩 딜레이 시간동안 기다린 다음 포워딩 상태로 넘어가기 때문에 사실 블로킹에서 포워딩으로 넘어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포워딩 딜레이 시간의 두 배가 된다는 점이다.


  - 스패닝 트리의 재편성

   (1) 문제 발생


   (2) 문제 상황 인식

    - 루트 브리지의 헬로 패킷(매 2초) 전송

    - 2초 후에 스위치 C에 헬로 패킷이 전달 되지 않음

    -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맥스 에이지(Max Age : 20초)시간이 지난 후 스패닝 트리의 변경 시작


   (3) 상황 대처

    - 스위치 C는 E0 포트를 통해서 들어오던 헬로패킷을 받기를 포기

    - 스위치 B는 계속 루트 브리지로부터 헬로패킷을 수신 중

    - 스위치 B가 루트 포트(스위치 B의 E0 포트)를 통해 받은 헬로패킷을 다시 데지그네이티드 포트(스위치 B의 E1포트)를 통해 뿌리고 그 BPDU를 스위치 C의 E1 포트를 통해 받게 된다.

    - 스위치 C는 E1 포트를 루트 포트로 선정

    - 스위치 C의 E1 포트는 포워딩 상태로 넘어가고, E0 포트는 블로킹 상태로 넘어간다.

    - 이때, E1 포트는 바로 포워딩 상태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블로킹에서 리스닝, 리스닝 에서 러닝을 거쳐 포워딩 상태로 넘어간다.

    - 이 때문에 디폴트 포워딩 딜레이 타임의 2배인 30초가 추가로 필요하다. 


 * 정리

  1) 루트 브리지로부터 헬로패킷을 2초마다 받던 스위치 C에 갑자기 헬로패킷이 들어오지 않는다.

  2) 스위치 C는 맥스 에이지 시간인 20초 동안 루트 브리지로부터의 헬로패킷을 기다려보지만 20초가 지나도 헬로패킷은 E0 포트를 통해 들어오지 않는다.

  3) 스위치 C는 스위치 B에서 전달해 준 헬로패킷을 자신의 E1 포트로 받아 들여 E1 포트를 루트 포트로 세팅한다.

  4) Non Designated 포트로 블로킹 상태에 있던 스위치 C의 E1 포트를 루트 포트로 선정할 경우, 디폴트 포워딩 딜레이 시간인 15초를 먼저 리스닝 상태에서 기다리고, 다시 한 번 러닝 상태에서 15초를 추가로 기다린 다음 포워딩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 한 링크가 끊어 졌을 때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다른 경로를 살리는데 걸리는 시간이 대략 50초 정도 소요된다.

6. 스위치 구성하기

 1)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버전

Switch# show interface status



2)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스위치의 구성 정보

Switch# show flash == dir flash:



3) 스위치의 환경 구성 설정 정보

Switch# show running-config



4) 스위치의 인터페이스의 정보

Switch# show vlan



5) 스위치 기본 설정



 6) 스위치 IP 주소 설정과 Default Gateway 설정

LabSwitch(config)#interface vlan1
LabSwitch(config-if)# ip address 198.160.1.2 255.255.255.0
LabSwitch(config-if)# no shutdown
LabSwitch(config-if)# ip default-gateway 198.160.1.1


 7) Port 설정 (포트 속도, Duplex)

LabSwitch(config-if)#duplex ?
  auto  Enable AUTO duplex configuration
  full  Force full duplex operation
  half  Force half-duplex operation
LabSwitch(config-if)#duplex full
LabSwitch(config-if)#speed ?
  10    Force 10 Mbps operation
  100   Force 100 Mbps operation
  auto  Enable AUTO speed configuration
LabSwitch(config-if)#speed 100


5.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5가지 상태 변화

 * 블로킹 상태로 화살표가 있는 것은 포트가 리스닝, 러닝, 포워딩 상태에 있던 포트도 루트 포트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에서 밀려나면 바로 블로킹 상태로 넘어갈 수 있다.

 * 모든 포트에서 Disable 상대쪽으로 화살표가 있는 것은 포트가 어떤 상태에 있든지 사용자에 의한 Shut Down 명령이나 포트의 고장으로 인해 언제라도 Disable 상태로 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1) Disabled

  - 포트가 고장나서 사용할 수 없거나 네트워크 관리자가 포트를 일부러 Shut Down시켜 놓은 상태

 2) Blocking

  - 스위치를 맨 처름 켜거나 Disabled되어 있는 포트를 관리자가 다시 살렸을 때의 상태

  - 처음 스위치가 켜지면 서로 BPDU를 주고 받으면서 루트 브리지, 루트 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Non Designated 포트를 뽀는다)

 3) Listening

  - 블로킹 상태의 스위치 포트가 루트 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로 선정 후 리스닝 상태로 넘어간다.

  - 리스닝 상태의 포트도 네트워크에 새로운 스위치가 접속했거나 브리지나 스위치의 구성값들이 바뀌면 루트 포트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에서 Non Designated 포트로 상황이 변할 수 있다.

  - 이때 블로킹 상태로 돌아간다.

 4) Learning

  - 리스닝 상태에 있던 스위치 포트가 포워딩 딜레이(Forwarding Delay) 디폴트 시간인 15초 동안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 리스닝 상태는 러닝 상태로 넘어간다.

  - MAC Address를 배워 MAC Address Table을 만든다.

 5) Forwarding

  - 스위치 포트가 러닝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넘어가지 않고 다시 포워딩 딜레이(Forwarding Delay) 디폴트 시간인 15초 동안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 러닝 상태에서 포워딩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 포워딩 상태의 스위치 포트는 데이터 프레임을 주고 받을 수 있다.

  - 블로킹 상태에 있던 포트가 리스닝과 러닝을 거쳐 포워딩 상태로 오려면 30초가 소요된다.


Mode 

데이터 전송

Mac Address 

BPDU 

Disabled 

X

Blocking 

Listening 

Learning

Forward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