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스패닝 트리의 기본적인 과정
1)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를 갖는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라우터에 의해 나누어지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
-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하나씩의 루트 브리지가 존재
(1) 루트 브리지(Root Bridge)란?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되는 브리지(스위치)
2)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를 Non Root Bridge라고 한다.
- Non Root Bridge당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가져야 한다.
- 루트 포트란 루트 브리지에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를 말한다. 즉 루트 브리지쪽에 가장 가까운 포트
- 네트워크당 하나씩의 루트 브리지가 존재하므로 루트 브리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브리지는 자동으로 Non Root Bridge가 된다.
- 나버지 브리지들은 루트 브리지쪽으로 가장 가까이 있는 루트 포트를 하나씩 지정해 주어야 한다.
3) 세그먼트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를 갖는다.
- 세그먼트란 브리지 또는 스위치 간에 서로 연결된 링크
- 브리지나 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이 세그먼트에서 반드시 한 포트는 Designated Port로 선출되어야 한다.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서 루트 포트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가 아닌 나머지 모든 포트는 다 막아버린다!
'학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네트워크설계] 7-5.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5가지 상태 변화 (0) | 2016.11.22 |
---|---|
[컴퓨터네트워크설계] 7-4. 루트 브리지, 루트 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의 결정 (2) | 2016.11.22 |
[컴퓨터네트워크설계] 7-2.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 STP) (0) | 2016.11.22 |
[컴퓨터네트워크설계] 7-1. 스위치와 브릿지 (0) | 2016.11.22 |
[컴퓨터네트워크설계] 7. 2계층 스위치 개요 (0) | 2016.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