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명령어의 이해
프롬프트의 구조
[root@localhost ~]#
| | | |
| | | +- 계정종류 (# -> 관리자, $ -> 일반유저)
| | +--- 디렉토리 경로명
| +--------- 호스트명(FQDN : hostname.domainname ex)www.naver.com, ftp.daum.net )
+----------------- 로그인 계정명
프롬프트는 변수 PS1에 담겨있다.
- 프롬프트 변경하기
[ksw@ns ~]$ PS1="[\u@\h \w]\\$ "
[ksw@ns ~]$ PS1="[\u@\H \w]\\$ "
[ksw@ns.bbc.com ~]$
- 로그인시 프롬프트가 세팅되는 파일
/etc/bashrc
프롬프트는 로그인할 때 자동으로 세팅된다. // 환경설정 하는 것 * 순서 기억해야 함
/etc/profile -> $HOME/.bash_profile -> $HOME/.bashrc -> /etc/bashrc
o 명령어 사용법
'-' 명령이를 옵션 없이 사용하는 방법
$ 명령어 <엔터>
-- 결과 --
1. 정상적으로 명령어가 실행
- 명령어가 실행된다.
ex) ls, df
2. 비정상적으로 명령어가 실행
- 에러를 출력한다.
ex) rm(remove), mv, cp, fdisk, useradd ...
- 명령어를 옵션을 이용해서 사용하는 방법
$ 명령어 '옵션' <엔터>
o 명령어의 옵션은 '-' or '--' 로 이루어져있다.
- 일반적인 옵션
-- GNU 롱 옵션
o 명령어 사용법의 도움말
- man page 를 이용하여 사용법을 확인하는 방법
$ man 명령어
$ man man
ex) man ls, man cp ...
- 명령어의 자체에 들어있는 --help 옵션을 이용하여 사용법을 확인하는 방법
$ 명령어 --help
ex) ls --help, mv --help .. 로 지정된 명령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
$ ls --help
Usage: ls [OPTION]... [FILE]...
$ rm --help
Usage: rm [OPTION]... FILE...
o 명령어의 종류
- alias된 명령어
- 내부 명령어
- 외부 명령어
- 함수
- alias된 명령어
형식 : alias 새로운명령어='기존 명령어 [옵션]'
ex) alias DF='df ; df -i', alias ls
# alias ls
lias ls='ls --color=tty'
# unalais ls <-- 기존에 alias 된 명령어를 해제한다.
# ls
<-- 흑백으로 출력된다.
# ls --color=tty
<-- 칼라로 출력된다.
# alias ls='ls --color=tty'
# ls
<-- 칼라로 출력된다.
alias 명령어로 사용자가 명령어를 새롭게 또다른 명령어로 지정하는 명령어다.
alias 로 지정된 명령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로그인할때 유지되면 로그아웃하면 사라진다.
시스템에 로그인하면 일반적으로 alias 로 지정되어 있는 명령어가 존재하고
alia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alias 로 지정한 명령어는 긴 명령어를 짧게 쓰거나 알기쉬운 이름의 새로운 명령어는 재정의할때 사용한다.
- 내부 명령어 (쉘 안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어 /bin/bash)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반드시 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내부 명령어는 help 명령어를 사용하여 명령어의 도움말을 확인한다.
ex) help cd, help read
# help cd
cd: cd [-L|-P] [dir]
# read -t 5 -p "input number : " x
input number : 1
# echo $x
- 외부 명령어 (디렉토리에 따로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외부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실행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다.
시스템의 실행 파일들이 모여있는 디렉토리들 :
/bin
/sbin (관리자가 사용하는 명령어) 그렇다고 모든 명령어가 그렇진 않다.
/usr/bin
/usr/sbin
/usr/local/bin
/usr/local/sbin
/usr/X11R6/bin
외부 명령어의 도움말은 아래 두 가지로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 명령어 --help
- man 명령어
- 함수
형식 :
1. 함수 정의 부분
{ } 안에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명령어를 등록하면 된다.
함수명() {
명령어
:
:
}
2. 함수 실행 부분
- 등록된 함수를 명령어처럼 실행하면 된다.
# test_func() {
> pwd
> echo "^^*"
> }
# test_func
/root
^^*
// 쉘 쇼크란?
함수로 지정된 명령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있다.
'OS > [Linux]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6. 파일 권한 테스트 (0) | 2016.07.02 |
---|---|
[CentOS] 5. 다양한 복사 방법 & 하드링크심볼릭링크 (0) | 2016.07.02 |
[CentOS] 4. 파일관련 명령어 (0) | 2016.07.02 |
[CentOS] 3. 절대경로 상대경로 (0) | 2016.07.02 |
[CentOS] 2. 디렉토리구조 (0) | 2016.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