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IT 신기술 동향 용어 정리


 - 암기할 내용이 많은 IT 신기술 동향 및 시스템 관리 용어는 따로 블로그에 정리하여 공부하도록 한다.

 - 2018 정보처리기사(이기적) 책을 참고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 IT 신기술 동향(기초편).pdf


17. R

Realistic Broadcasting

(실감 방송)

 시청자의 오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차세대 방송이다. 실감 방송에서는 방송 콘텐츠의 상황을 시청자가 현실과 동일시 할 수 있도록 생생한 현장감을 부여하고 있다. 현재 일부 구현하여 사용 중인 3차원 입체 텔레비전(3DTV)이나 초 고선명 텔레비전(UHTV) 이후에 등장하게 될 미래형 방송 기술이다.

Relational Technology

(RT, 관계 기술)

 이것은 웹 2.0을 이끌어 가는 논리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는데, 두 대상의 관계를 이해하려는 관계성을 토대로 하는 기술 패러다임을 말한다.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 기술(IT)에 나와 상대방, 사람과 사람에 관한 문화, 인문학 등에 걸친 논리 기반의 관계 기술이 접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위키디피어나 블로그는 RT에 의하여 탄생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Rendering

(렌더링)

 사실감을 더하기 위해서는 물체의 모양에 색상과 명암을 부여하여 입체감을 일으키는 기법이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에 관한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 시스템이다. 전자태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전용 근거리 통신), 무선 식별 시스템이라고도 부른다.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의 신분을 식별하는 시스템으로서 바코드나 스마트카드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에 의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다만 관리를 잘하지 못할 경우, RFID를 통해서 개인 사생활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Robo-Advisor

(로보-어드바이저)

 분야별 전문가(어드바이저)의 역할을 대신 서비스해주는 로봇(인공지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자산투자, 주식투자 분야에 많은 지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의 조언을 자산투자 로보어드바이저가 대신하며, 환자 진료에 따른 가능한 의사 처방전을 로봇이 대신하여 내리는 경우이다. 로보-어드바이저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을 오랜 시간 기계학습을 통하여 꾸준히 학습하게 된다.

RSS

(RDF Site Summary, Rich Site Summary, Really Simple Syndication, 

풍부한 사이트 요약)

 인터넷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배포할 목적으로 새로운 소식이나 콘텐츠를 기술하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웹 사이트의 갱신 여부를 쉽게 확인하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배포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배포되는 콘텐츠로는 문자는 물론 소리,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도 포함한다. W3C에서 제시한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자원 기술 개념)에 부착되는 XML로 된 어플리케이션의 일종이다.

RVS

(Reconfigurable Video Coding, 

재설정 비디오 코딩)

 한 대의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에서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 콘텐츠들을 재생할 수 있도록 MPEG에서 만든 표준이다.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가 요구하는 프레임워크에 따라 부호화 할 수 있는 다중 비디오 부호화 표준이다.


18. S

SaaS

(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들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해주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1990년대 후반 관심을 끌었던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방식의 개선된 모델로 볼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유통 방식의 새로운 변화를 일으켰는데 공급업체는 한 개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여러 고객에게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이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이처럼 고객이 사용한 만큼 과금하는 서비스를 유틸리티 컴퓨팅이라고 부르는데 SaaS도 여기에 속한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형 기반구조), STaaS(Storage as a Service, 서비스형 스토리지) 등이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는 고객들 측면에서는 IT 인프라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IT 인프라 투자와 관리 노력이 경감되는 장점이 있다.

SATA

(Serial AT Attachment, 

직렬 ATA)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DVD 및 CD-RW 등 기존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장치의 접속 규격인, 병렬 방식의 각종 ATA 규격과 호환성을 갖는 직렬 방식의 인터페이스 규격. 연결선은 병렬 신호 40개에서 직렬 신호 6개로 줄었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고 1.5Gbps로 높였으며, 연결선의 길이는 1m 거리까지 연장할 수 있다. SATA는 장착된 대로 자동 인식되며, 핫 플러그(hot plug) 기능이 있어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도 USB처럼 장치를 끼우거나 뺄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5Gbps 이상을 지원하는 SATA3가 출시되었다.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

 공급자로부터 생산자, 도매업자, 소매업자, 소비자로 이동하는 물자, 정보, 재정 등에 관한 진행 과정을 감독하는 것으로서, 기업 내부 혹은 기업 간에 이러한 흐름들에 대한 조정과 통합 과정이 수반된다.

SCORM

(스콤)

 미국 e러닝 표준기관인 ADL이 제시한 표준화 모델로서, 기능별 모듈로 나누어 교육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저비용 모델에 대한 규격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플랫폼과 도구가 상이한 학습 환경하에서도 상호 호환성이 확보되며 콘텐츠의 재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Screenless Display

(스크린 없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처럼 스크린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빈 공간에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게임이나 영화 등에서 활용된다.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전통적인 네트워크 장비들에서는 결합되어 있는 제어부와 데이터부를 분리한 후 네트워크 제어부들을 한 곳에 모아 중앙 집중형으로 관리하는 일종의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이다. 제어부가 제외된 네트워크 장비들은 데이터 전송만을 담당하고 접근제어, 환경설정, 보안, QoS, 모니터링 등의 제어 기능들은 중앙의 제어부가 담당한다. 통신사와 IDC 사업자들이 보유한 네트워크 장비 전체를 소프트웨어로 신속하면서도 쉽게 운영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데이터부와 제어부 사이에 통신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하여 오픈플로우(Openflow)라는 오픈소스 기반 기술을 사용한다.

SED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기존의 CRT 모니터가 사용하는 전기적 특성을 나노 기술로 축소하여 구현한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하나의 픽셀이 기존 CRT의 전자총 1개에 해당하도록 미세한 나노 기술을 사용한다. 부드러운 색조를 제공하며 180도의 시야각과 빠른 응답 속도, 초슬림화, 저전력의 장점을 제공한다.

Semantic Web

(시맨틱 웹)

 웹에 존재하는 자료에 의미(시맨틱)를 부여함과 동시에, 가급적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 프로그램 상호 간에 스스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세대 지능형 웹이다. WWW의 발명자인 팀 버너슬리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는데, 사람 중심에서 벗어나 정보기기끼리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한 지능형 웹을 말한다. 시맨틱 웹의 핵심 기술로는 RDF(자원 기술 개념)를 기반으로 한 온톨로지(Ontology) 기술과 ② ISO 중심의 Topic Map 기술을 꼽을 수 있다.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인터넷 검색엔진에서 검색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검색엔진 최적화 기법을 말한다. 해당 사이트에 대하여 핵심 키워드들을 선택하여 이를 등록한 후, 배너나 추천 사이트 등록 등을 통하여 방문자 수를 늘리는 방법 등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다.

Six Sigma

(식스시그마)

 고객만족과 품질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문제 해결 방법의 하나로서, 1980년대 말 모토롤라에서 품질혁신운동으로 성공을 거두면서 본격화되었다. 시그마(sigma)라는 통계척도를 도입하여 조직 내 모든 품질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모든 프로세스의 품질 수준이 6시그마에 도달하도록 불량률을 낮추는 기업의 품질경영 전략이다. 고객만족에서 출발하여 기업 내 모든 품질관리 과정에 대하여 측정, 분석, 개선, 관리라는 4단계를 적용한다.

Smart Data

(스마트 데이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얻어낸 양질의 데이터로서 조직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신속 정확하고, 실행 가능한 데이터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Smart Grid

(스마트 그리드)

 전력 공급 시스템을 IT 기술과 접목하여 지능형으로 개선한 시스템으로서, 전력 단가가 낮은 시간에는 전력량을 높이고, 전력 단가가 높을 때는 전력 사용량을 자동으로 줄이는 등 사람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전력 공급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정보화한 시스템이다.

Smart Office Mobile Office

(SOMO, 소모)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영하는 작은 규모의 사업을 가리킨다.

Smart Work

(스마트 워크)

 첨단의 정보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회사 사무실에 직접 출근하지 않고서도 근무하는 환경을 말한다. 종전의 재택근무를 포함하여 원격근무, 탄력근무가 여기에 속한다.

SMIL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동기식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하여 시간적인 관계와 공간적인 관계를 정의하여 보여주기 위한 XML 기반의 언어이다.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인터넷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인맥 연결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이 여기에 속한다.

SO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화된 서비스들을 대상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할당된 업무 수행을 지원해주는 애플리케이션 통합 기반 기술이다.

 기업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인프라 정보시스템을 공유 및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구축하는데, SOA를 구현하는 주체는 시스템 개발자가 아닌 업무 담당자이다.

Social Curation

 인터넷상에서 사람들이 각자의 취향대로 정보를 가공하여 다른 사람들과 함께 콘텐츠를 전시하고 공유하는 행동을 말한다. 정보의 과잉과 중복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로감이 증폭되는 것을 예방하여 봇물처럼 넘쳐나는 정보들 속에서 가급적 유용한 정보를 찾아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Social Search

 질문을 올리는 사람에 대한 제한이 없고, 해당 분야의 전문가는 물론 일반 네티즌들로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자유롭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이트이다. 기존의 검색엔진과 다르게 네티즌 상호작용에 의하여 새로운 검색 영역이 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ocial Web

(소셜 웹)

 소셜 웹은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하여 사람들을 연결하는 사회관계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소셜 웹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조성하기 위하여 웹 사이트와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설계되고 개발되어야 하는지 그 방법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사회적 상호작용은 온라인 쇼핑, 교육, 게임, 사회적 네트워킹 웹 사이트를 포함한 많은 온라인 활동의 기초를 형성한다.

Space Club

자체 기술로 자신의 우주기지에서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나라를 말한다. 로켓 발사는 크게 위성체 기술과 발사체 기술로 나눌 수 있는데, 국가의 우주 기술 수준은 이를 기준으로 하여 A, B, C, D의 네 그룹으로 분류한다. Space Club A그룹 국가들이다.

Space Information Industry

(공간 정보 산업)

정보 기술(IT)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한 제반 정보를 생산하고 가공하며 유통, 판매하는 제반 산업 활동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LBS(위치 기반 서비스), GIS(지리 정보 시스템), 전자지도 서비스, 유비쿼터스 지향 산업 등이 여기에 속한다.

SSD

(Solid-State Drive, 

고체상태 드라이브)

 NAND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조정하는 ASIC 컨트롤러로 구성된 차세대 데이터 저장장치를 가리킨다. 기존의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달리 전동모터와 같은 소음이 생기는 전자·기계적 부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발열량도 적다. 아직은 SSD의 가격이 같은 용량의 HDD에 비하여 비싸지만, 향후 HDD를 대체할 미래형 데이터 저장 장치로 평가되고 있다.

Stereoscope

 한 개의 사물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물체가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것은 입체감이 생기도록 양안시차 원리를 이용하여 깊이감을 느끼게 한다. 대표적인 종류는 거울을 사용한 반사형 렌즈를 사용한 굴절형 등이 있다.

STTD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시공간 송신 다이버 시티)

 무선 통신에서 전파 품질을 상향시킬 목적으로 송신 측에서 동일한 신호를 여러 곳에서 여러 번 송신하고 이를 수신 측에서 합성함으로써 양질의 전파를 얻도록 하는 기술을 이르는 말로서 현재의 휴대폰 이동 통신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19. T

Tagging

(태깅)

 키워드나 태그를 달아서 콘텐츠의 내용을 구분하는 행위로서, 작성된 글(일반적으로는 콘텐츠)을 작성자 혹은 사이트 관리자가 관련 주제 및 카테고리 안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키워드를 지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태깅이 이루어진 글(콘텐츠)은 지정된 태그를 토대로 하여 사이트상에서 주제별, 혹은 카테고리별로 분류된다.

Taxonomy

(분류학)

 가나다, …ABC, …와 같이 체계적으로 분류된 전통적인 분류체계를 말하는데 트리구조의 계층적 구조로 미리 결정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참고로, 사람들이 이해하는 기준으로 정보를 분류하는 폭소노미(folksonomy) Folk(군중) Taxonomy(분류학)의 합성어이다.

TEIN

(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유라시아 초고속 정보통신망 사업)

 유라시아(유럽과 아시아) 소속 국가 간에 연구망과 교육망을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정보화의 혜택은 극대화하여 연구와 교육은 물론 유라시아 국가들 간의 경제 발전과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며 반면에 정보화 격차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을 극소화할 목적으로 추진되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글로벌 네트워크 프로젝트이다. 2000년 제3ASEM 서울 정상회담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Telematics

(텔레매틱스)

 자동차, 비행기 배 등의 운송장비가 운행되는 도중에도 정보 서비스가 지속되도록 해주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말한다. 통신 기술(telecommunication)과 정보학(informatics)의 합성어이다. 위성 위치 추적 시스템(GPS)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Telepresence

(원격 현장감)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에 대하여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가리킨다

 자신의 컴퓨터를 멀리 떨어진 장소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가상현실 공간을 형성한 후 이 공간상에서 상호 작용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존재하는 효과를 얻게 하는 기술이다.

Thin Client PC

 기존의 PC에서 불필요한 하드웨어(하드웨어, 주변장치)를 제거하여 최소한의 하드웨어 만을 갖춘 PC이다

 제거되는 하드웨어의 기능(응용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 저장 등)은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 받게 된다. PC를 이용하면 PC 분실이나 교체 시에도 정보 분실의 위험성이 사라진다.

T-Ray

 X-Ray처럼 THz(Tera Hertz, 테라헤르츠)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사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기술이다. X-Ray와 달리 방사능이 방출되지 않고 안전하다.


20. U

UC

(Unified Communication)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통합함으로써 생활 방식이나 사업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는 음성전화,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이기도 하다.

UCC

(User Created Contents, 

사용자 제작 콘텐츠)

 인터넷 사업자나 전문작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말한다. 웹 게시판, 블로그 등 핵심 인터넷 서비스로 인하여 UCC가 강화되었다. 네티즌이 자유롭게 참여하여 생산, 재창조,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웹 2.0이 등장하면서 이들 UCC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국내 UCC 서비스의 시작점은 네이버 검색엔진에서의 지식검색(사용자가 질문과 답변을 직접 게시함)으로 꼽고 있다.

u-City

 최첨단의 IT 기반구조와 유비쿼터스 개념을 융합하여 형성한 도시 공간을 말한다.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시민 안전 보장, 시민 복지 서비스 향상, 생활 편의 증대, 삶의 질적 향상, 신산업 창출 등에 걸쳐 도시의 기능을 혁신한 미래 정보화 도시이다. 국내에서는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 아래 지방자치단체, 건설 사업자, 통신 사업자, SI 사업자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 중에 있다. 해외의 경우, 유럽의 INTELCITY와 싱가포르의 Cool Town을 꼽을 수 있다.

UHD TV

(Ultra High-Definition Television,

초고선명 텔레비전)

 기존 Full HD TV(1,920 * 1,080)보다 화면 해상도가 높으며, 10.2 이상의 다채널 오디오를 제공한다. 비디오 해상도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Full HD TV보다 4배의 해상도(3,840 * 2,160)를 제공하는 4K UHD TV 16배의 해상도(7,680 * 4,320)를 제공하는 8K UHD TV가 있다.

u-Learning

(u-러닝)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동영상 학습을 하는 기존의 e-러닝보다 진보된 교육 시스템으로서, 교육받는 장소, 시간, 개인단말기에 관계없이 개인별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진다.

UMB

(Ultra Mobile Broadband)

 국제표준화기구인 3GPP2에서 제정한 비동기식 이동전화로서 4세대 이동통신 후보이다. MIMO/OFDM 기술을 핵심 기반 기술로 사용하고 있다. 개발 목표는 상향 전송 속도가 275Mbps이며 하향 전송 속도는 75Mbps이다.

UMPC

(Ultra Mobile PC)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기반의 초소형 경량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일종으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인텔, 삼성과 협력하여 진행한 오리가미 프로젝트에 의해 태어났다. UMPC PDA와 달리, 노트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터치스크린 기능을 재설계하여 제공하고 있고 배터리 전원도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재설계했다는 점이 다르다.

UMS

(Unified Messaging Service,

통합 메시징 서비스)

 전자우편, 음성, 팩스 등 제반 메시지들을 한 개의 서비스를 통해 모두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서비스이다. 이용자들의 단말기 종류에 관계없이(Any Device) 지원 가능하다.

u-Port

 RFID USN 기반의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한 실시간 항만 물류 관리 시스템이다. 화물운송 차량과 컨테이너박스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화물의 이동 상태를 관리하게 되는데, 선박 관리, 화물 관리 등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URAM

(Unified Random Access Memory)

 기존 D램의 장점과 플래시 메모리의 장점을 모두 갖춘 퓨전 메모리이다. 읽기와 쓰기가 자유롭다는 D램의 장점과 전원을 꺼도 저장된 정보가 보존된다는 플래시 메모리의 장점을 모두 제공한다. 주로 휴대용 디지털 장비에 사용한다.

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지능형 서비스 로봇)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요구를 듣고 그대로 각종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가리킨다. 기존의 로봇 기술에 초고속 네트워크와 같은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한 것으로써, 환경 인식이나 음성 인식 등 로봇이 수행하는 핵심기능을 로봇 외부의 통신 서버에 분담시켜 로봇의 하드웨어 구성을 단순화시켰다.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뉴스, 날씨, 교통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보편적 자원 식별자)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서 접근하고자 하는 정보 자원에 대한 통일된 식별 체계를 가리킨다. 텍스트, 음향, 영상,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인터넷 자원을 식별해주는데, URI의 하위 집합으로는 URL, URN, URC가 있다. URI는 표준 문서 RFC 2396에 정의되어 있다.

USB Direct

(USB 다이렉트)

 인쇄하고 싶은 자료를 USB 메모리에 담아서 프린터의 USB 포트에 연결하여 직접 출력하거나, 프린터가 스캐너 기능을 포함한 경우에는 스캔하여 읽은 이미지 파일을 USB 메모리에 직접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프린터를 컴퓨터의 주변장치가 아닌 완전한 독립 장치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만, 인쇄하기 전에 자료를 가공하는 과정이 없다는 점이 단점이다.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내주는 대량의 센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센서는 다른 센서와 상호 통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전체 관리를 담당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센서들은 계산능력과 통신 능력이 낮으며 전원이 유한하다는 물리적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과 보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기 힘들어서 새로운 보안 기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Utility Computing

(유틸리티 컴퓨팅)

 컴퓨터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전기, 수도, 가스처럼 고객이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이에 비례하는 사용료를 지불하는 서비스 모델을 가리킨다. 일시적으로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한때 필요하다고 해서 무조건 구매하여 소유해야 하는 불합리성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는데, 클라우드 컴퓨팅에서도 유틸리티 컴퓨팅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

UWB

(Ultra Wide Band, 초광대역)

 저전력으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단거리 구간에서 전송하기 위한 초고속 무선통신 기술이다. GHz대의 초광대역을 사용하며 무선 디지털 펄스라고도 부른다. 보통의 경우 0.5mW 정도의 낮은 전력으로 70m내의 통신 거리에 한정하여 사용한다.

u-헬스케어

(Ubiquitous-Healthcare)

 IT 기술을 이용하여 어느 곳에 있든지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원격지 의료 상담, 실시간 영상 자료, 맞춤형 개인 건강관리 등을 지원한다. 서울시의 u-헬스케어 사례를 보면, 가정에 설치된 혈압 및 혈당 측정기와 같은 의료장비와 PC, 웹카메라 등을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측정한 후, 생체 정보와 식사기록·운동일지가 유무선으로 건강관리 서버에 실시간 전송되어 관리된다.


21. V

Variable Bitrate

 통신 사용자가 최고의 비트율과 지속 비트율 등을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비동기 전송 방식에서의 대역폭 할당 서비스이다.

VHT

(Very High Throughput,

초고속 와이파이 표준)

 현재 사용 중인 무선랜 표준인 54Mbps 802.11g 130~600Mbps802.11nq다 훨씬 빠른 G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새로운 무선랜 802.11ac 802.11ad의 표준 규격을 말한다.

Viewing Angle

(시야각)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보는 각도에 따라서 명암비와 밝기가 크게 변하는 특성이 있는데, LCD 앞에서 정상적인 화면(명암비와 밝기가 어느 값 이상 유지되는 상황)사람이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최대한의 좌·우·상·하 각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수평 시야각 140°는 정면을 0°로 했을 때 좌·우 각각 70°범위에서는 정상적으로 화면을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Virtual Advertisement

(VA, 가상광고)

 텔레비전 방송에서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방송 광고 이미지를 창출해 기존의 방송 신호를 대체하는 광고 기법이다. 예를 들어 축구장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광고판을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만들어 축구 중계 화면에 실시간으로 합성함으로써 시청자들이 보는 텔레비전 광고판에 나타나게 하는 기술도 가상광고의 사례이다.

VMC

(Vehicle Multihop Communication, 

차량 멀티홉 통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차의 과속과 충돌을 예방하는 기술을 말한다. 차량 주행 중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여 제한 속도 초과 시 감속을 유도하며, 차량간 상호 통신을 활용하여 차량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한다.

VOD

(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신해주는 서비스이다. 서비스 대상으로는 영화, 오락, 게임, 쇼핑 등이 있다. 미디어가 개인화 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VoIP(Voice on IP, 인터넷 전화)

 VoIP인터넷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통신과 멀티미디어 세션을 전달하는 기술 방법과 그룹을 말한다

VoIP와 관련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용어는 인터넷 전화, 광대역 전화이다. VoIP를 구현하는 핵심 프로토콜로는 H.323, SIP, MGCP, MEGACO가 있는데 국내에서는 H.323을 사용한다.



22. W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웹 기술을 표준화하고 이에 필요한 기술 지침서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1994년에 창립된 제적인 컨소시엄으로서 MIT 등의 대학, CERN과 같은 연구소,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까지 80여종이 넘은 웹 기술 표준안을 제시하였는데 개인정보 보호 플랫폼 표준안인 P3P,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자동 배포할 때 사용하는 RSS의 근간이 되는 RDF, 홈페이지 작성의 근간이 되는 언어인 HTML, 이를 확장한 마크업 언어인 XML 등을 꼽을 수 있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데 예를 들어, DB로부터 정보를 가져와 무선 핸드폰용 어플리케이션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WAS의 기능에 속한다. WAS e비즈니스 시장을 목표로 하여 신속하며 안정적이고 확장성이 높은 웹 서비스를 구축하도록 해준다. WAS의 사례로, Oracle사의 웹로직, IBM사의 웹스피어를 꼽을 수 있다. WA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WAS 미들웨어라는 새로운 계층을 형성함으로 3-tier[1] 환경을 구축한다.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옷으로 입거나 몸에 이식해서 센서와 기기들을 무선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이다. 무선센서와 무선기기를 통해 수집한 건강 정보를 병원에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u-Health 서비스를 받도록 할 수 있다. IEEE 802.15.6에서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분할 구성)

수행하는 프로젝트의 전체 업무를 파악하고 구성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여러 작업과 업무 요소들을 정의하고 묶어주는 도구이다. 업무 추진 스케줄링과 조정에 필요한 안내 기능과 상세한 가격 산정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Web 2.0

( 2.0)

위키피디아(Wikipedia), 블로그(blog), RSS, 북마크 공유 등의 발전된 인터넷 기술이나 인터넷 활용을 이르는 말이다. 2004년에 O’Reilly Media and MediaLive International을 통해 처음 시작되었는데 기존의 웹 1.0(WWW)보다 협업 기능을 더 강화한 개념으로 사실은 명확한 구분은 없는 형편이다. Web 2.0에서 주로 다루는 주제로 ① 블로그, AJAX, ③ 구글 기반 서비스 혹은 기타 무료 웹 서비스, ④ 정보와는 뉴스에 대한 새로운 배포 규격(RSS), ⑤ 네티즌 상호 엽헙에 의하여 축적되는 백과사전(위키피디아)등이 있다.

Web Accessibility

(웹 접근성)

 모든 사람이 해당 웹 사이트에 아무런 제약 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들도 웹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음성 안내 서비스), 국제 표준을 준수하기만 한다면 덜 대중화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도 정상적으로 웹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잇도록 기술적으로 지원해주어야 한다.

Web Kit

웹 브라우저들 안에 웹 페이지가 적절하게 보이도록 해주는 계층 엔진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말한다. 이것은 웹 콘텐츠를 윈도우 안에 보이도록 클래스 집합들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클릭했을 때 링크를 따라가며, 앞뒤 목록을 관리하고, 최근에 방문한 페이지들의 역사를 관리하는 것과 같은 브라우저로서의 특징들을 구현해준다. 웹킷은 BSD-형식의 라이선스를 준용할 때 사용 가능하다.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휴대 인터넷, 와이브로)

 시속 60Km 정도의 고속 이동 시에도 사용 가능한 무선 광대역 인터넷이다. 컴퓨터, PDA, 차량용 수신기 등에 Wibro 단말기를 설치하면 이동하는 자동차나 지하철에서도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 주파수는 2.3GHz이며, 전송 속도는 1 ~ 30Mbps이고, 최대 전파 거리는 48Km이다. 한국의 Wibro 기술 표준 HPi(high-speed portable Internet)은 차세대 무선 광대역 전송 기술 세계 표준인 IEEE 802.16e에 채택 되었다.

Widget

(위젯)

웹 브라우저의 도움 없이도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윈도를 말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추가할 수 있는 외부 코드 혹은 인터페이스 영역으로서 시계, 달력, 실시간 카메라, 지도 메모장 등이 위젯사례로 사용되고 있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도 일종의 위젯이라고 볼 수 있다. 야후에서는 위젯이라고 부르며,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는 가젯(Gadget)이라고 부른다.

WIFI

(Wireless Fidelity,

와이파이)

무선인터넷호환협의회(WECA)에서 802.11b 무선 이더넷 세계 표준에 대해 제공하고 있는 로고를 말한다. 상호 호환성을 제공하는 정보 통신 제품들은 WIFI 로고의 사용이 가능하다.

Wikinomics

(위키노믹스)

 제품 생산과 서비스 부분을 혁신하기 위하여 개방과 자원 공유 방식을 기반으로 더 많은 사람들을 참여시키려는 새로운 경제 모델이다. 위키피디아(Wikipedia)와 경제학(economics)의 합성어로써 개방과 공유의 원리에 의하여 대규모 협업을 도모한다.

Wikipedia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여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백과사전을 의미한다. 협업을 강조하는 웹 2.0의 대표적인 산물이다.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휴대인터넷의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인텔사가 개발한 기술이다.(IEEE 802.16d) 30마일의 무선 영역에, 70MB/s의 전송 속도를 보장한다. WiMAX라는 단체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기존의 무선랜(802.11a/b/g) 기술을 보완한 것이지만, 장비 이동 시 이웃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Hand-off)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위피)

 한국 무선 인터넷 표준화 포럼(KWISF)이 무선 인터넷용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을 위하여 SK텔레콤, KTF, LG텔레콤과 공동으로 제안한 한국 독자 모델이다. C Java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한다. 이와 대비되는 외국산 제품으로 퀄컴사의 Brew(브루)를 꼽을 수 있다. 무선 인터넷 플랫폼의 규격과 엔진 중에서 규격을 WIPI로 하기로 미국과 합의가 이루어졌다.

WPA

(WiFi Protected Access)

 한 사람이 점유할 수 있는 10여 미터 내외의 공간에서 컴퓨터, 휴대폰, 프린터 등의 디지털 단말장치들을 상호 연결해주는 것을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이라고 하는데 이를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특별히 블루투스로 구성한 PAN을 피코넷이라 부른다. 피코넷은 최대 8개의 단말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주종관계가 성립된다.

WPAN

(Wireeless Personal Area Network,

무선 사설망)

 활용범위를 개인 영역의 좁은 공간(PAN)에 한정한 무선 네트워크이다. 무선 프린터는 물론 PC, PDA와 같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저장장치, 셋톱박스, 무선 전화기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컴퓨팅 장비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1] 다층 구조(Multi-tier Architecture 또는 n-tier Architecture)는 비즈니스 로직을 완전히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사이에 배치한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일종이다.


23. X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형 생성 언어)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기능을 확장할 목적으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표준화한 웹 페이지동 기본 기술 언어이다. HTML에서 사용되는 연결 기능 등을 확장함과 동시에 표준 범용 문서 생성 언어(SGML)를 인터넷용으로 최적화한 것이다. 사용자가 태그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여 보이는 화면에 추가하여 구조화된 데이터의 전달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교환, 저장하고 응용, 처리할 수 있게도 해준다.


24. Z

Zigbee

(지그비)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표준 기술의 한 가지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집 안의 전등을 제어하고, 보안 시스템을 가동하며, 인터넷 기반의 전화 접속으로 홈오토 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WPAN의 일종으로 50m 내외의 거리에 위치한 장치들을 연결하여 250Kbps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제공하며, 최대 255개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점대점(Peer-to-Peer), 네트워크 구조, 스타 구조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위상과 호환 가능하다.

+ Recent posts